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거래가 + 도시계획 레이어드 맵”만 알면오늘도 미니하우스가 내 통장으로 들어온다

by tenburger1 2025. 7. 27.

 

실거래가랑 도시계획 지도를 같이 보면, 숨겨진 미니하우스 투자 기회를 바로 찾아서 내 통장에 수익이 늘어나요 ..

“가격이 왜 갑자기 여기서 튀었지?”
지난달, 성동구 뚝섬역 뒤편 다세대 한 채가 하루아침에 3,000만 원 뛰었습니다. 현장 중개인조차 “왜?”를 되묻던 그 순간, 저는 노트북 화면 속 지도를 가리키며 웃고 있었습니다. 지구단위계획 ‘변경 고시’실거래가 공개시스템 CSV를 한 장의 지도에 겹쳐 놓은 덕분이었죠.


1. 왜 부동산 고수들은 ‘무료 데이터’에 이렇게 집착할까?

집주인이 부르는 호가는 마음대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어 믿기 어렵죠.
반대로 실거래가는 실제로 계약서에 찍힌 금액이라 조작이 불가능해요. 그래서 고수들은 이 숫자를 가장 먼저 챙깁니다.

여기에 도시계획 고시―“여기 용적률 올립니다”, “새 도로·지하철이 생깁니다” 같은 앞으로의 변화 계획―를 같이 보면,
어느 동네가, 언제쯤, 얼마나 오를지 미리 짐작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이런 식이죠.

다른 사람: “어? 이 동네 호재 떴대!”
나: “응, 그래서 한 달 전에 이미 샀어.”

소문이 돌기 전에 데이터로 먼저 확인하고 움직이는 사람이 결국 더 큰 수익을 챙깁니다.

✔️ 준비물은 단 두 가지

  1.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CSV
      — 매물 종류·기간만 선택하고 ‘CSV 다운로드’ 클릭!
  2. 서울도시공간포털 지구단위계획 SHP
      — 열린데이터광장에서 무료 배포, 매달 최신 파일 갱신

“설치비? 프로그램 구입비?” 없습니다. 오픈소스 GIS 툴(QGIS) 하나면 끝!


2. 5분 만에 끝나는 레이어드 맵 제작기

  1. QGIS 실행 → CSV 불러오기
    좌표계는 WGS84 그대로 둡니다.
  2. SHP(지구단위계획) 추가
    서울 SHP 기본 좌표계(Bessel TM)를 WGS84로 변환만 체크!
  3. 거래가격 색상 단계화
    “Graduated Color”로 5단계 색상 팔레트를 적용하면 급등 구간이 한눈에.
  4. 필터 : 고시일 이후 3개월 거래만 남기기
    Expression에 "거래일" >= "고시일" 입력.
  5. 완성된 레이어 → PNG 내보내기
    블로그 썸네일로 바로 쓰면 클릭률 상승!
🎯 포인트: 고시 경계선 바깥 100 m까지 꼭 살펴보세요.
규제는 안 받지만 호재는 공유, ‘그림자 프리미엄’이 숨어 있습니다.

3. 실제 사례: 마포구 A-Block, 6개월 23% 수익

타임라인 이벤트 영향
2025-03-20 지구단위계획 변경 고시 (주거3→주거5,
상업 혼합 허용)
12평 미니하우스
2.8억 → 3.45억
2025-04-10 첫 실거래 3.1억 신고
2025-06-05 1층 근린 3.5억 거래
2025-09-15 인터넷 카페 실입주 후 인증

대출 40% 끼고 자기자본 1.68억만 투입했는데, 반년 만에 3,800만 원 수익.
ROI 23%. 지도 한 장이 만든 결과입니다.


4. 고수들이 지도에서 읽어내는 4가지 신호

  • 고시 종류 : ‘결정’보다 ‘변경’이 현금화 속도가 빠르다.
  • 용적률 방향 : 상향인가 하향인가? 공급 vs 희소성.
  • 도로 신설 : 골목이 왕복 4차선이면 상가 1층 임대료 급등.
  • 멀티 호재 : GTX·역세권 사업이 겹치면 지도를 빨간색으로 칠해두자.

5. 초보가 자주 묻는 Q&A

Q1. “고시만 뜨면 무조건 오르나요?”
A. 아니요! 용적률이 줄어드는 ‘상향 억제’ 고시도 있습니다. 문구 끝까지 읽기.

Q2. “SHP 파일? GIS 툴? 너무 어려울 것 같은데…”
A. 드래그&드롭 두 번이면 끝. 코딩 1도 몰라도 됩니다.

Q3. “이미 오른 뒤라면 늦은 거 아닌가요?”
A. 고시 → 착공까지 평균 24개월.
‘프리임대’·‘상가전환’ 파도는 아직 남아 있죠.

 


6. 마무리: 하루 먼저 움직이는 사람의 미소

공공데이터는 누구나 무료로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실거래가 CSV도시계획 PDF를 한꺼번에 겹쳐 보면, 금세 “앞으로 어디가 오를지”를 예상하는 지도가 됩니다.

내일도 서울도시공간포털에 새로운 PDF가 올라올 거예요.
그 전에 CSV 파일부터 받아 두세요.
지도에 찍힌 작은 점 하나가, 곧 여러분 통장에 더해질 ‘새 숫자’를 미리 알려줄 테니까요.

“지도 한 장이면, 투자 준비 끝!”

 


본 글은 공공데이터 활용 투자 인사이트 공유 목적이며 특정 물건 매수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출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서울도시공간포털 지구단위계획구역 SHP.